Previous / EndoTODAY / List / Next
[20120508. Terminology (2) - Hiatal hernia]
식도열공탈장(esophageal hiatal hernia)은 횡격막의 식도열공을 통해 흉강내로 위의 일부가 탈장되는 것을 말합니다. 식도열공탈장은 일반인의 10-20%에서, 위식도역류질환의 50-94%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열공탈장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type이 있습니다.
Type 1: 식도열공 주위에서 식도를 횡격막에 부착시켜 주는 횡격막식도 인대(phrenoesophageal ligament)가 헐거워져서 하부식도와 위식도접합부, 위의 상부 일부가 흉강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형태의 탈장으로, 활주열공탈장(sliding hiatal hernia)이라고 부릅니다. 전체 식도열공탈장의 95%를 차지합니다. 대부분 탈장 자체로는 증상이 없고, 주로 gastric juice의 역류에 의해 이차적으로 증상이 일어납니다. 식도열공탈장은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의 하나입니다. 1형 식도열공탈장 없이도 TLESR (transient LES relaxation)등에 의하여 위식도역류질환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LA-C나 LA-D와 같은 심한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는 대부분 식도열공탈장이 동반되어 있습니다. 1형 식도열공탈장은 대부분 후천성이며, 보통 40대 이후에 발생하게 되고, 비만, 무거운 것을 드는 운동, 임신, 위식도역류나 식도점막의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식도의 종주근육의 긴장성 수축이 악화 인자로 생각됩니다.
Type 2: 횡격막식도 인대의 손상은 없고, 열공 자체가 늘어나서 그 틈으로 위의 일부(특히 위분문부)가 흉강으로 빠져 들어가는 형식의 탈장을 말합니다. 식도주위탈장(para-esophageal hernia)이라고 부릅니다. 전체 식도열공탈장의 약 5%를 차지합니다.
Type 3: Type 1과 type 2가 복합된 형식입니다. 횡격막식도 인대의 손상으로 위식도 접합부가 밀려 올라가면서 열공 자체가 커 위 분문부가 흉강 안으로 빠져 들어가게 됩니다.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