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 EndoTODAY / List / Next

[20120512. Terminology (6) - Lugol solution]

소화관 점막표면에 각종 색소를 살포 또는 분무하여, 점막의 미세한 요철이나 색조의 변화를 알기 쉽게 하거나, 점막과 색소간의 특수한 기능을 이용하여, 보통 내시경 관찰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소견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색소내시경(chromoscopy)입니다. 메틸렌 블루, 인디고카르민 등 여러 종류의 색소가 쓰입니다. 이 중 식도질환의 진단에는 요오드법(Lugol법)이 유용합니다.

루골용액이 편평상피 내의 글리코겐과 반응하여 변색되는 것을 이용한 반응법으로, 정상 구강 내, 인후두, 식도점막 등등이 편평상피로 덮여 있으므로 요오드에 의해 수분 내에 갈색으로 변색됩니다. 염증에 의한 편평상피의 결손, 재생상피, 이형상피, 암에서는 글리코겐의 농도가 떨어져 황백색의 염색이 되지 않는 부위(Lugol void area)가 형성됩니다.

묽게 염색된 영역은 경도~중등도의 이형상피인 경우가 많습니다. 양성의 경우 크기가 작고 원형의 모습이며, 악성의 경우 주위가 불규칙하고 크기가 10mm 이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 내시경에서 점막절제술에 적합한 식도의 표층성 암을 찾아내기는 매우 어렵다고 알려져 있으며, Lugol 법을 이용하여 염색이 되지 않는 부위에서 생검을 함으로써 발견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이 실제로 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리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