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 Home | EndoTODAY | List | Next
[Risk of lymph node metastasis in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
식도암의 내시경 진단에 대한 시리즈를 시작하기에 앞서 림프절 전이에 대하여 다시 한번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듯 합니다. 지난 12월 23일 EndoTODAY에서 설명드린 바 있지만 식도에서는 점막암이나 점막하암의 림프절 전이 위험이 위나 대장보다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2008년 본 교실의 논문에서 제시한 자료를 그림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검은 점이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증례입니다.
M3 암에서도 림프절 위험이 상당히 높다는데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연구 기간 대상환자에서는 없었지만, 간혹 M2암에서 림프절 전이를 보이는 증례를 만나기도 합니다.
1. 식도 squamous cell carcinoma의 림프절 전이 위험
식도 squamous cell carcinoma의 림프절 전이 위험은 위나 대장보다 훨씬 높습니다 (EndoTODAY 20121223). 수 년 전 삼성서울병원의 자료를 분석한 바 있습니다 (Kim DU. J Gastroenterol Hepatol 2008). 핵심 그램을 아래에 옮깁니다.
M3 암에서도 림프절 위험이 상당히 높다는데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연구 기간 대상환자에서는 없었지만, 간혹 M2암에서 림프절 전이를 보이는 증례를 만나기도 합니다.
식도암 환자의 림프절 명명법은 크게 서양식(AJCC)과 일본식(일본식도질환학회, 일본위암학회)이 있습니다.
1) AJCC 7판에 따른 림프절 명명법
1L = left supraclavicular, 1R = right supraclavicular, 2L = left upper paratracheal, 2R = right upper paratracheal, 4L = left lower paratracheal, 4R = right lower paratracheal, 5 = aortopulmonary, 6 = anterior mediastinal, 7 = subcarinal, 8L = lower paraesophageal, 8M = middle paraesophageal, 9 = pulmonary ligament, 10L = left tracheobronchial, 10R = right tracheobronchial, 15 = diaphragmatic, 16 = paracardial, 17 = left gastric, 18 = common hepatic, 19 = splenic, 20 = celiac. The posterior mediastinal lymph node (3P) is not shown.
2) 일본 식도질환학회 림프절 명명법 (Esophagus 2004;1:61-88)
3) 일본 위암학회 림프절 명명법
17 = lymph nodes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pancreatic head, 18 = lymph nodes along the inferior margin of the pancreas, 19 = lnfradiaphragmatic lymph nodes, 20 = lymph nodes in the esophagus hiatus of the diaphragm, 110 = lower throacic paraesophageal nodes, 111 = supradiaphragmatic lymph nodes, 112 = posterior mediastinal nodes
4) 서양식과 일본식의 비교
Barrett adenocarcinoma나 cardia cancer의 수술에 대하여 흉부외과나 일반외과 의사와 대화할 때 림프절 박리 범위를 논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특히 흉부외과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일반외과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흉부외과에서는 미국식 숫자를 사용하고 일반외과에서는 일본식 숫자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lower paratracheal nodes는 미국식으로는 8L번, 일본식으로는 110번입니다.
위치 서양식 일본식 Lower paratracheal nodes 8L 110 Diaphragmatic nodes 15 111 Paracardial nodes 16 1 (右) 또는 2 (左)
식도암 환자의 복부 림프절은 병원에서 별도의 이름을 부여하여 관리하기도 합니다.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아래와 같은 자체적으로 정의한 규칙으로 명명하기도 합니다. 수술기록지 등에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1) Takubo K.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adenocarcinoma in Barrett's esophagus. Dig Endosc 2014;26:322-30.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