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hophysiology of acidic corrosive esophagitis]
빙초산에 의한 손상
빙초산(氷醋酸, glacial acetic acid)은 수분이 거의 섞이지 않은 아세트산을 말합니다. 분자식은 CH3COOH입니다. 식초의 주성분으로 3~5%정도 함유되어 있어 신맛을 내기 때문에 초산이라고도 합니다. 고농도 빙초산은 변기청정제, 녹 방지제, 수영장 청정제 등으로 사용됩니다.
산에 의한 점막손상 기전은 알카리의 경우와 다릅니다. 응고괴사(coagulation necrosis)가 발생하면서 가피(eschar)가 형성되어 손상이 깊게 진행되지 않습니다. 장혜영 등의 연구(대한응급의학회지 12:496-502)에서 일부 옮깁니다.
"산 음독시에는 빠른 식도 통과 시간과 가피에 의한 심부 화상 방지 효과로 식도에는 심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식도 내는 알칼리 pH를 유지하므로 음독한 산이 어느 정도 중화될 수 있고 식도의 편평 상피가 위장의 원주 상피에 비해 산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식도 손상은 아주 강산을 음독했을 때만 일어나거나 식도의 운동 장애가 있을 때에만 심도의 식도 손상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다만 정상 해부학적 협착부인 윤상인두, 대동맥궁, 좌측 주기관지, 횡경막 열공 등의 부위는 산과의 접촉 시간이 증가되면서 식도 손상이 잘 생긴다고 한다. 따라서 산은 알칼리에 비해 식도 손상의 빈도가 적다거나 빠른 식도 통과 시간과 음독한 산의 점성 등의 영향으로 산 음독시 식도는 비교적 보존되었다는 연구들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제주대학교 김흥업 교수께서 의견을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주도에서는 빙초산을 많이 먹습니다. 그 이유는 식초는 그 특유의 향에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쉰내라고 할지 아니면 술냄새 같은 것 말이지요. 식용으로도 쓴다는 것을 말씀드리려고 추가했습니다."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