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 EndoTODAY / List / Next

[20120625. Bezoar (16) - Trichobezoar]

20대 여성에서 진단된 trichobezoar입니다. 환자는 6살때까지는 머리카락을 먹는 습관이 있었으나 그 이후로는 먹지 않았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머리카락이 위 속에 20년 가까이 사진과 같은 모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개복수술로 머리카락 덩어리를 제거하였고 아래와 같은 모양이었습니다.

울산동강병원에서 다발성 모발석에 의한 소장 폐쇄 1예를 보고한 바 있습니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5;31:423-426). 그 증례보고에서 관련된 부분을 옮겨보겠습니다.

"Bezoar는 구성성분에 따라 머리카락이 주성분인 trichobezoar, 과일과 채소의 섬유질이 주성분인 phytobezoar, 의약품에 의한 pharmacobezoar, 영유아기에 조제분유를 지속적으로 먹여 발생하는 lactobezoar 등 4 가지로 나뉜다. 환자의 80% 이상이 30세 이전에 발병하며, 90% 이상이 여성이며, 머리카락을 먹는 식모증(trichophagia) 및 우울증, 그리고 정신지체 등의 정신과적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식모증 환자에서 모두 모발석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이것은 긴 머리카락, 머리카락 섭취의 양, 위 연동운동의 감소, 점막과 위액분비의 변화, 음식물중 지방의 비율 등 다른 중요인자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모발석의 치료는 외과적 적출이 유일한 치료법이나 크기가 작을 경우 내시경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Kanetaka 등은 최소절개를 통해 복강경을 위에 삽입하고 기구를 이용하여 작게 자른 후 위내시경을 통해 제거하는 덜 침습적이고 미용상 이점이 있는 시술을 보고하였다. Trichobezoar 제거 후 정신과적 평가와 추적검사가 필수적이며, 정신과적 문제의 치료가 재발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참고문헌]

1. EndoATLAS 위석 - 위석 총정리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