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oTODAY | EndoATLAS | 외래설명자료

기생충 | 식도 | | 위암 | ESD | 천기누설

Home | Guide | 주인장 | 구독 | 검색 | 링크


[2015 대한종양외과학회 연수강좌]

Proximal gastrectomy에 대한 Pros and Cons 찬반토론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2015년 5월 23일 (토)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열린 '2015년 대한종양외과학회 연수강좌'에 다녀왔습니다.

서울대분당병원 박도중 선생님 발표:

과거 proximal gastrectomy with esophagogastrostomy 후 reflux esophagitis, stricture와 같은 후기 합병증이 많아서 최근에는 total gastrectomy가 대세입니다. 외과 교과서에도 proximal gastrectomy를 추천하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분당서울대병원에서는 근위부 조기위암에 대하여 laparoscopic proximal gastrectomy (LPG) with double tract reconstruction (DTR)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식도와 위 사이에 10-15 cm 간격을 유지하면 역류성 식도염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51예의 LPG with DTR 증례를 laparoscopic total gastrectomy와 후향적으로 비교해 보았는데, reflux esophagitis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빈혈도 적었습니다. 현재 전향적 연구인 KLASS-05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주대학교 허훈 교수님 발표:

Oncologic safety가 중요합니다. Proximal gastrectomy에서는 5번, 6번 node dissection를 못하는데 이 부위는 EGC에서는 거의 문제가 없습니다만 AGC에서 1% 정도 림프절전이가 있습니다. 수술전 EGC로 생각했으나 수술 후 AGC로 나온 환자가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게다가 남아있는 distal stomach의 암 발생에 대한 경계를 늦추면 안 됩니다.

제가 2004년 처음으로 부교수 발령을 받았을 무렵까지는 간혹 proximal gastrectomy가 시행되었습니다. 그런데 역류와 협착으로 인한 고생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습니다. 그 이후로는 거의 항상 total gastrectomy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KLASS-05 연구 결과를 기대해봅니다.


Proximal gastrectomy 후 협착


Proximal gastrectomy 후 협착과 역류성 식도염


강의 하나만 듣기가 아까워 한두시간 일찍 갔는데 의외로 흥미로운 강의가 많았습니다.

1. RAMPS for distal pancreas cancer (서울대병원 강미주)

RAMPS (radical antegrade modular pancreatosplenectomy)는 Number of LN를 늘리고 negative tangential margin을 얻는데 도움이 되지만 생존율 증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췌장암이 진단 당시 이미 systemic disease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2. TCGA (The Cancer Genome Atlas) project (서울대학교 외과 한원식)

2006년 시작.
33개 종양, 11,000명의 환자 자료가 등록되어 있음.
유방암의 경우 1,000여명의 자료가 공개되어 있음.
10여년 전 Stanford 그룹의 microarray 연구를 통하여 유방암이 Luminal A, Luminal B, HER2-enriched,
Basal-like의 4가지로 나눠진다고 밝혀졌는데, TCGA를 통해 이 네가지 주요 아형이 매우 다른 체세포 돌연변이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가타 많은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는데, 예를 들면 HER2 증폭이 없는 유방암에서 HER2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적 돌연변이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3. NGS and its applications n to cancer research (셀레믹스 한효준)

NGS기반 도구 2개가 최근 FDA 공인을 받았음.

Target capture method를 통하여 전체 유전체가 아니라 관심부위만을 선택하여 분석하는 경향입니다.


4. Precision medicine (연세대학교 신상준)

비교적 젊은 환자에서 발생하는 fibrolamellar HCC 환자였던 Elana라는 분이 인터넷에 자기 이야기를 올리고 비슷한 환자 14명을 모아 이들의 유전자료를 분석하여 원인 유전자를 발견하여 Science지에 발표하였습니다 (링크).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Precison Medicine에 대한 funding 필요성을 역설하는 자리에 이 아가씨를 소개하여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Science 논문 링크


5. Breast cancer with false negative intraoperative frozen section analysis of sentinel lymph nodes

Z0011 trial : sentinel node positive인 환자를 ALND과 RT로 randomizarion하였는데 차이가 없었다. AMAROS trial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현재 sentinel node 1-2만 양성이고 whole breast RT예정인 환자는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을 하지 않아도 좋을 것 같다.


6.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pancreas cancer (찬반 토론)

연세대 강창무: 수술 술기 발전으로 advanced pancreas cancer를 수술하는 예가 많아지면서 장기생존율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최근 분석은 실망스럽습니다. 약간 나빠진 것 같다는 미발표 자료도 있습니다. Combined vascular resection을 받은 환자의 예후는 매우 나빴는데, 이는 tumor biology가 원래 나빴기 때문일 것입니다.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s cancer에서 neoadjuvant chemotherapy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neoadjuvant chemotherapy 하고 수술을 못하는 환자의 생존율을 수술 후 1년 이내 재발한 환자의 생존률과 비슷합니다. 따라서 neoadjuvant chemotherapy가 환자 선택 효과가 있습니다.

한형준: 수술 후 adjuvant chemotherapy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습니다.

© 바른 내시경 연구소 소장 이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