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oTODAY | EndoATLAS | Outpatient Clinic
Parasite | Esophagus | Stomach | Cancer | ESD
Home | Guide | Author | Search | Blog | Links
강사: 충남대학교 의학교육실장 정성수 (호흡기내과)
제목: 임상표현(CP) 중심의 교육과정개발
질병단위에서 임상표현(= clinical presentation, 증상) 단위로 변경
전통적 강의는 새로운 강의를 따라갈 수 없다. Improved learning in a large-enrollment physics class Carl Wieman Science 2011
성인학습이론
Medical problem solving or "information processing" | |
Data gathering | Dynamic task (information processing) |
Diagnosis | |
Therapeutic plan | Static task |
Patient management |
병태생리를 이해하면 보다 깊은 추론이 가능합니다.
[질문] 학생의 학습경험 (Student's experience)?
[질문] 일차 의료를 할 것인가 일차 진료를 가르칠 것인가를 논한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3차 진료기관의 환자를 처음 보고 보다 전문가에게 전하는 입구 정도의 역할을 배우고 있는 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일차 의료를 담당할 의사를 키울 커리큘럼은 아닌데..
[질문] 교수들이 바뀔 수 있을까요? 수업진행을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는 것이 당연한 반응 같습니다. 소화기내과는 2명 정도가 교육하면 될 것 같은데요... 말하자면 위장관 1명, 간췌담도 1명이 교육을 잘 시키면 되는 것이지 10명이 넘는 의사(교수가 아닌 의사)가 새로운 개념의 교육을 수행한지 못할 것 같은데요.
[질문] 교육과정은 통체로 개발하려는 것이 유행인 것 같습니다. 조금씩 하면서 reponse를 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