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site | Eso | Sto | Cancer | ESD
[상부위장관 헬리코박터학회 집담회] - Recent
1. 조기위암 수술 18개월 후 다발성 전이 (강남세브란스병원)
첫 수술 시 병리: M/D tubular adenocarcinoma, 2.7x2cm, muscolaris mucosa, lymphovascular invasion (+), lymph node : positive (1/49) LN9 (celiac artery)
Pancreas 조직검사: M/D adenocarcinoma
영상학적으로 primary와 metastasis의 감별 point는? 병소의 위치와 necrosis 양상이 primary보다 metastasis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조직학적으로 pancreas origin으로 추정한 원인은? 위와의 비교가 중요하였습니다.
Learning point? Deep SM invasion이 3.5mm였고 deep lateral margin 양성이므로 조기위암보다는 진행성 위암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comment가 있었습니다.
삼성서울병원에서도 ESD 후 수술 후 multiple metastasis를 보였던 환자가 있었습니다.
순간접착제를 드셔서 인후부, 식도 및 위에 corrosive injury가 있던 분입니다. 식도와 위 내강에서 순간접착제가 굳어서 하얗고 길쭉한 foreign body가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Histoacryl과 성분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3. Mechanical spray lumpectomy (MSL) for endoscopic subserosal surgery (분당차병원)
EUS elastography로 strain ratio measure를 하여 병소의 hardness를 평가할 수 있음.
76세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