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EndoTODAY | EndoATLAS

Beginner | ESA | Schedule | OPD

Seminars | Atlas | Recent | Links

EndoTODAY 내시경 교실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 문맥압 항진성 위병증] -

1. 병태생리

2. 내시경 소견

3. 내시경 분류

4. 치료

5. FAQs

6. References


1. 병태생리

2010년 대한소화기학회지에 실린 최원혁 교수님의 종설(문맥압항진 위병증과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염증세포의 침윤이 현저하지 않기 때문에 gastritis가 아니라 gastropathy라고 부릅니다. 아래 참고.


2. 내시경 소견

위체부 점막과 주름이 비후되고, 모자이크 문양(mosaic-like pattern = white reticular network separating polygonal areas of raised red or pink mucosa)이나 뱀 피부 모양의 점막(snake skin appearance)을 보입니다. 전반적인 혹은 주름 상단의 발적이 보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Red point lesion, cherry red spot, black brown spot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췌장암이 광범위한 혈관 침범을 하면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췌장암 환자의 PHG - 참고


정상일까요? 아니면 아주 경한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일까요? Varix 없음. Platelet 117, protein 5.7, albumin 4.0, PT 1.01 (INR).


3. 내시경 분류

분류는 2단계 분류와 3단계 분류가 있는데, 저희는 Baveno 분류(2 단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Baveno classification


4. 치료


[FAQs]

[2015-4-30. 애독자 질문]

30대 여성의 검진내시경입니다. 특별한 기저질환은 없었습니다. 위체부에 전반적으로 작은 발적이 있습니다. 1년 전 내시경을 보니 똑 같습니다. 단순위염 같지 않고 GAVE와는 위치가 다르고 증상은 전혀 없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요?

[2015-5-5. 공개질문 후 받은 한 애독자 답변]

일반적으로 점막의 점액부착, 부종, 발적, 미란이 표층성 위염의 소견으로 다루어져 왔지만, 현재에는 발적만이 표층성 위염의 객관적인 내시경 소견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현재 위체부에서 발적이 눈에 띄는 반상 발적이 밀집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저질환이 없는 30대 여성이며 반상발적은 H. pylori 감염과 연관되는 소견으로 H. pylori 감염이 의심됩니다.


[2016-5-4. 애독자 질문]

간경변 환자이고 식도 정맥류가 있는데 위 cardia 주변의 흰색 그물같은 것이 무엇인가요?

[2016-5-4. 이준행 답변]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에서 보이는 mosaic pattern 점막입니다. 아래의 전형적인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 사진을 보십시오. 책에 따라서는 presence of small, polygonal areas surrounded by a whitish-yellow depressed border라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조직검사는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간혹 드물게 그 아래에 varix라도 있으면 큰일이니까요.


[2021-9-17. 애독자 질문]

점막에 Spotty redness 가 보일때, 헬리코박터 위염인지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2021-9-18. 이준행 답변]

임상상을 알면 쉽게 구분할 수 있겠지만 내시경 소견만으로는 다소 어려울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러나 H. pylori gastritis에서는 부종은 덜한 편이고 불규칙한 발적이 현저한 점을 고려하면 구분할 수 있습니다.


[2023-4-29. Fellow 질문]

1. Classification은 Baveno 분류로 기술하고, 내시경 소견에 첨부된 표에서 2-CCS (2 category classification system), 3-CCS (3 category classification system), NIEC (New Italian Endoscopic Club)의 classification은 그냥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에서 이러한 소견이 있다 정도로 참고하면 될까요?

2. Baveno classification에서 mosaic pattern의 mild와 severe 소견을 어떻게 구분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찾아보니 mild는 pink, severe는 red로 색으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던데 이 방법이 맞는건지요? 검색을 해도 잘 안나와서 여쭈어 봅니다.

3. Quiz 사진에서 mosaic pattern은 일견 심해 보여서 severe인 것 같은데 red markings은 isolated인지 confluent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점점이 박혀있는거 같아서 isolated인가 싶기도 하고 두어개 붙어있는 것도 있는 것 같아서 confluent인 것 같기도 하고...

[2023-5-1. 이준행 답변]

1/2. 그렇습니다. Baveno 분류에 따라 mild 혹은 severe로 나누시기 바랍니다. Baveno 분류에는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이 없으므로, 소견 기술에는 아래 표의 여러 표현을 사용해 볼 것을 권합니다. Ping/red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3. 애매한데요... mosaic pattern은 현저하고, red marking은 isolated로 해 둡시다.


[References]

1) [Review] 최원혁. 문맥압항진 위병증과 위전정부 혈관확장증 대한소화기학회지 2010;56:186-191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