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site | Eso | Sto | Cancer | ESD
1. Master class (학술대회 전 기관 방문 프로그램)
[KINGCA 2019 Master class] (학술대회 전 기관 방문 프로그램)
4/3 9:00-17:00. Clinical observation (operating room or endoscopy unit)
4/3 18:00. Welcome dinner
4/4 9:00-17:00. Clinical observation (operating room or endoscopy unit)
4/5 9:00-12:00. BOX simulation workshop for foreigners (simulation center)
4/5 13:00-15:00. Description exercise workshop (endoscopy unit conference room)
This is tricky. Because the center is depressed and margin is slightly elevated. We call it depressed lesion because marginal elevation is considered as secondary change. Actually, folds are formed only in the depressed lesions. So, the endoscopic diagnosis is EGC IIc (not IIa).
4/5 18:00. Dinner
4/8 9:00-12:00. BOX simulation workshop for foreigners (simulation center)
4/8 13:00-15:00. Special lecture - Gastric cancer screening in Korea by Lee Jun Haeng (endoscopy unit conference room)
4/8 18:00-21:00. ESD hands-on training with pig stomach model (SMC animal lab)
4/9 9:00-17:00. Clinical observation (operating room or endoscopy unit)
[April 11 10:50 D-room] Education session - 이준행 강의
[April 12 8:30 B-room] 최일주 교수님 강의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대한 세계적인 연구(NEJM 2018)를 발표하신 최일주 교수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이런 내용은 저자 직강이 딱입니다.
위암 환자의 헬리코박터 치료에 대한 각국의 가이드라인입니다. 내시경치료 후에는 대부분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를 권하고 있으나 수술 후 치료를 권하고 있는 곳은 많지 않습니다.
Hp 제균치료 자체가 암 발생을 줄였는지 혹은 항생제 사용이 암 발생을 줄였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현재의 자료는 항생제 사용이 아니라 Hp 제균 자체가 암발생을 줄인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 다른 primary outcome인 atrophy와 metaplasia의 변화입니다. 제균치료 후 atrophy와 metaplasia가 의미있게 호전되었습니다.
현재의 가장 큰 concern은 헬리코박터 제균치료가 survival을 증가시키지는 못했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Subtotal gastrectomy 후 제균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입니다. Cho SJ. APT 2013:38:477
비록 재발률의 차이는 없었으나 Hp 제균치료는 surrogate marker인 atrophy score를 호전시켰습니다.
최일주 교수님의 멋진 결론입니다. 이런 큰 주제에 대한 강의를 오로지 본인의 연구 자료만으로 결론까지 이끌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최일주 교수님께서는 2019년 1월 26일 헬리코박터학회 부산경남지회 심포지엄에서도 비슷한 슬라이드를 보여주신 바 있습니다. 멋진 요약입니다.
최일주 교수님의 또 다른 멋진 연구가 곧 발표될 것 같습니다. 이미 enrollment와 followup이 끝났고 분석 중이므로 조만간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합니다. 15년 전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대단한 project입니다.
최일주 교수님의 또 다른 연구도 기대됩니다. General population에서 Helicobacter 제균치료의 효과를 보기 위한 다기간 RCT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환자 enrollment 중이라고 합니다. "대단합니다"를 반복하여 외칠 수 밖에 없습니다. 존경합니다.
1) Additional gastrectomy after non-curative ESD (엄방울)
위암 내시경치료 후 병리학적 non-curative 결과는 15% 정도 나옵니다. 원칙은 수술을 권하는 것인데, 실제로 수술을 받는 환자는 절반 정도입니다.
실제 수술을 받는 환자의 비율은 기관마다 큰 차이를 보입니다. 엄방울 교수님께서 정리한 자료 중 삼성서울병원의 수술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하늘색 밑줄). 김은란 교수님 논문에서 수술률은 70.8%였습니다.
삼성서울병원 환자들이 다른 병원 환자들에 비하여 유난히 의사의 말을 잘 듣는 것일까요? 유난히 겁이 많은 것일까요? 유난히 용감한 것일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설명의 차이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희 팀은 환자에게 매우 자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사전에 수술이 필요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매우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 하고, 또 하고, 또 하고... 환자의 궁금증이 전혀 없을 때까지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non-curative pathology 결과를 말씀드리면 너무나 자연스럽게 수술장으로 향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평균인 50%가 좋을까요, 아니면 삼성서울병원의 70%가 좋을까요? 사실 아무도 답을 모르는 문제입니다. 나중에 나중에 longterm outcome을 비교하면 답을 알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영원히 모를 수도 있고.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