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oTODAY | EndoATLAS | 외래설명자료
기생충 | 식도 | 위 | 위암 | ESD | 천기누설
Home | Guide | 주인장 | 구독 | 검색 | 링크
[일원내시경교실 목요점심집담회 2016-3-10]
진단은 식도정맥류인 점은 쉬운데 형태에 대한 의견이 달랐습니다. 논의 끝에 이 정도면 'Form 2'라고 부르는 것으로 눈높이를 맞추었습니다. Form (과거에는 grade라고 불렀음)은 small, medium, large로 혹은 1, 2, 3으로 부릅니다.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아래와 같은 논의 끝에 1, 2, 3으로 정한 바 있습니다.
[2013-4-5. 곽금연 교수님의 제안에 따라 식도정맥류 기술 방법을 변경함]
"그간 우리병원에서는 식도정맥류 기술 방식을 Fs, Fm, Fl (각각 small, medium, large를 뜻함)로 통일해 사용해 왔습니다. 그런데 (large를 의미하는) Fl이 이전 기술 방법인 F1, 2, 3 의 F1과 글자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사실 정반대를 의미하는데) 여러 선생님들의 불만이 있습니다. 게다가 새로 개정된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에서도 F1, 2, 3 기술 방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우리병원에서도 이제부터 Fs, Fm, Fl 대신 F1, 2, 3 방식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나머지 기술 방식은 이전과 동일합니다. 모든 선생님들께서 추후 이 방법을 따라 주시길 부탁합니다."
보다 많은 증례는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EndoTODAY 점막하종양
크기를 짐작해보시기 바랍니다. 위암의 범위를 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사진 중앙의 함몰부만 보지 마시고 주변의 융기부와 색조변화 부위도 함께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Early gastric carcinoma
1. Location : lower third, center at antrum and posterior wall
2. Gross type : EGC type IIa+IIc
3. Histologic type :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4. Histologic type by Lauren : intestinal
5. Size : 4.2x2.4x0.2 cm
6. Depth of invasion : extension to submucosa (sm3) (pT1b)
7. Resection margin: free from carcinoma, safety margin: proximal, 11.5 cm; distal, 4.2 cm
8. Lymph node metastasis : no metastasis in 39 regional lymph nodes (pN0)
9. Lymphatic invasion : not identified
10. Venous invasion : not identified
11. Perineural invasion : present
위암으로 보신 분이 많았던 증례입니다. NSAID와 steroid를 드시던 분의 위궤양입니다.
NSAID 복용자의 위궤양은 recurrent ulcer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궤양의 stage 판단이 어렵습니다. 암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환자는 마침 몇 개월 전 내시경 사진과 몇 개월 후 내시경 사진이 있어서 자연사와 치료에 따른 변화를 잘 보여줍니다.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