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ginner | ESA | Schedule | OPD
Seminars | Atlas | Recent | Links
[Classifications. 분류법] - 終
1. Esophagus
2. Stomach
4. Colon
[Esophagus]
1. 식도 칸디다증. Esophageal candidiasis (Kodsi classification)
* 참고: EndoTODAY 식도 칸디다증
2. 부식성 식도염. Corrosive esophagitis
0: normal
1: edema and hyperemia of mucosa
2a: friability, hemorrhage, erosions, blisters, whitish membranes, exudates, and superficial ulcerations
2b: grade 2a plus deep discrete or circumferential ulcerations
3a: small scattered necrosis
3b: extensive necrosis
* 참고: EndoTODAY 부식성 식도염
3. 역류성 식도염. Reflux esophagitis
* 참고: EndoTODAY 역류성 식도염
* 참고: EndoTODAY 바렛 식도
예: Advanced esophageal cancer, type 3 (또는 Advanced esophageal cancer, ulceroinfiltrative type)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 IIb식도암은 위암만큼 내시경 분류가 유용하지 않습니다. 내시경 결과지에는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 혹은 advanced esophageal cancer라고 간단히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식도암에서도 위암처럼 내시경 분류를 적용하면 여러 측면에서 유용할 것 같습니다. 2009년 발표된 Japanese classification of esophageal cancer (10th ed)에서 제시된 방법을 따릅시다 (Esophagus 2009:6:1-25). 위암의 분류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외우기는 쉽습니다.
* 참고: EndoTODAY 식도암
* 참고: EndoTODAY 식도열공탈장 Hiatal hernia
Location은 Ls, Lm, Li로, form은 F1, F2, F3으로, red color sign은 RC0, RC1, RC2, RC3으로 통일하여 사용합시다.
![]()
2022-4-14. Single topic symposium on esophageal varix grading
F1 (linear, < 5mm)과 F2 (beaded or tortuous, >5mm)의 구분이 애매하면 F1으로 준다. 약간 beaded 한 모양이더라도 5mm 미만이면 F1으로 준다.
F2와 F3의 구분은 임상적으로 별 차이가 없다.
애매하면 세게 주기보다는 약하게 준다.
EVL을 여러번 시행받은 환자에서는 F1,2,3 구분이 어렵다.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F2,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F1을 주기도 한다. 사진을 잘 찍어두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 EndoTODAY 식도정맥류
[Stomach]
1. Gastric varix and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
* 참고: EndoTODAY 문맥압항진 위병증
* 참고: EndoTODAY 위축성 위염
3. 소화성 궤양. Benign peptic ulcer (AHS system = Sakita-Miwa 분류)
- Active stage 1 (A1): Active and blurred edge. 방금 궤양이 만들어진 경우로 비교적 작고 깊은 ulcer crater가 있고 주변 점막이 심하게 부어 있습니다. 아직 재생상피나 fold 변화는 없습니다.
- Active stage 2 (A2): Active and sharp edge. 며칠 정도 지난 궤양입니다. Ulcer crater는 A1 stage보다 넓어지지만 주변 점막 부종이 다소 완화되어 보입니다. 재생상피나 fold 변화가 아주 살짝 보일 수 있습니다.
- Healing stage 1 (H1): Healing with regenerating epithelium. 주변 점막 부종은 거의 가라앉은 상태이며 regenerating epithelium이 현저히 보입니다. 그러나 아직 ulcer crater가 제법 많이 남아있습니다. Fold 변화도 동반됩니다.
- Healing stage 2 (H2): Almost healed by regeneration. 주변 점막 부종은 모두 가라앉았고, 재생상피가 대부분을 자치하고 ulcer crater는 아주 조금 남아있습니다. Fold 변화가 현저합니다.
- Scar stage 1 (S1): Red scar. Ulcer crater는 없고 재생상피가 약간 붉은 색조로 보이고 fold만 남아있습니다.
- Scar stage 2 (S2): White scar. Fold만 남아있고 ulcer crater나 재생상피가 보이지 않습니다. 재생상피가 오래되어 정상 점막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입니다.
2015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발간한 소화성궤양 치료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민원인 안내서에 소개된 Sakita-Miwa 분류
일본에서는 궤양 병기에 따라 재생상피가 변화되는 모습을 상세히 분류하기도 합니다. 내시경학회 세미나 류종선 교수님 강의록과 김영대 교수님 강의록에 소개된 바 있어 그 내용을 옮깁니다. 그러나 용어가 너무 어려워서 저는 사용을 권하지 않습니다. 그냥 참고만 하세요.
A1을 제외한 모든 소화성궤양의 병기에서 재생 상피가 관찰되는데 치유과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궤양변연에 막과 같은 형태의 막양 재생 상피가 A2 시기에 나타난다. H1~H2의 치유과정기에는 울타리나 성채와 같은 형태의 책상 혹은 방추형 재생상피가 관찰되거나 조각돌을 깔아놓은 듯한 부석상 재생상피가 보이기도 한다. 치유과정기에 나타난 재생 상피의 여러 형태들이 S1 시기에는 다양하게 관찰된다.
* 참고: EndoTODAY 소화성 궤양
4. 출혈성 궤양. Ulcer with GI bleeding
Adherent clot이 커서 irrigation등으로 제거하니 그 아래에 exposed vessel이 있었습니다. Electrocauterization 시행하였습니다.
이 정도로 심한 exposed vessel은 angiography로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Coagrasper를 이용한 electrocauterization이나 clipping이 필요합니다.
* 참고: EndoTODAY 출혈성 궤양
5. 위용종. Gastric polyp (Yamada classification - old style)
* 참고: EndoTODAY 위용종
[Stomach cancer]
예: EGC, IIc
* 참고: EndoTODAY 조기위암 분류
2. 진행성 위암. Advanced gastric cancer
예: AGC, Borrmann type 3
[Colon]
장정결도를 판정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저희 기관에서는 과거 Aronchick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몇 년 전부터 segment별로 장정결도를 평가하여 합산하는 Boston 방법으로 변경하였습니다. Right colon, T colon, Left colon에 각각 0-3점을 부여하여 도합 0-9점까지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나쁜 것이 0점, 가장 좋은 것이 9점입니다.
보스톤 스케일을 정확히 적용하려면 사용자간 눈높이를 맞춰야 합니다. CORI에서 제공하는 보스톤 스케일 연습 동영상으로 훈련할 것을 권합니다.
서양 사람에 비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이 같은 장정결법을 사용해도 좀 더 장이 깨끗해진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 참고: Bowel preparation before colonoscopy (ASGE guideline 2015)
* 참고 : EndoTODAY 장정결
2. 대장 용종, LST, 조기 대장암. Colon polyp, LST (laterally spreading tumor) and early colon cancer
예: Rectal polyp, Is
* 참고 : 대장용종의 진단과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3. 진행성 대장암. Advanced colon cancer
예: Advanced colon cancer, type 3 (또는 Advanced colon cancer, ulceroinfiltrative type)
Advanced colon cancer, type 1 / 2 / 3 / 4 (또는 polypoid type / ulcerative type / ulceroinfiltrative type / diffuse infiltrative type)
* 참고: 진행성 위암 혹은 진행성 대장암에 대한 보만 분류와 파리 분류는 거의 동일합니다. 대장암에 대하여 보만 분류를 붙이면 'Advanced colon cancer, Borrmann type 3'와 같이 다소 어색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Advanced colon cancer, type 3'와 같은 방식을 추천합니다.
4.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궤양성 대장염의 중증도는 Ulcertive colitis disease activity index (Mayo score, range: 0-12)를 사용합니다. Stool frequency, rectal bleeding, endoscopy findings, physician's global assessment 항목이 있습니다.
이 중 내시경 소견만 Mayo endoscopy scoring으로 이용합니다.
삼성서울병원 표준 reference (작성: 백남영). 증례별 scoring 예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7, 15-29 (January 2010)
궤양성 대장염의 또 다른 내시경 scoring으로 UCEIS가 있습니다.
* 참고: 궤양성 대장염 진단 가이드라인 (2009)
* 참고: EndoTODAY 방사선 관련 위장관 손상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