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EndoTODAY | EndoATLAS

Beginner | ESA | Schedule | OPD

Seminars | Atlas | Recent | Links

EndoTODAY 내시경 교실


[비후성 위염. Hypertrophic gastritis] -

위주름 폭이 6-7mm 이상일 때 비후되었다고 합니다. 정상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위가 팽창하면서 주름들이 편평해지고 사라지지만 비후된 위주름은 공기로 팽창시켜도 펴지지 않습니다. 거대주름의 원인은 매우 많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양, 악성 병변의 감별입니다.

원인이 다양하지만 내시경 소견은 비슷하므로 임상 소견에도 주목하여 적절한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아래의 감별진단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만 비교적 빈도가 높은 원인으로 양성 병변은 비후성 위염, 위 아니사키스증, 위매독 gastric syphilis (최근에 매독이 증가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등이 있고 악성 병변으로는 4형 위암이 있습니다.

실제 임상에서 중요한 점은 4형 위암과 비후성위염의 감별입니다. 복수, 체중감소, 복통 등이 있으면 4형 위암을 고려해야 합니다. 간혹 위매독도 비슷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4형 위암은 조직검사에서 암으로 나오지 않는 수가 많으므로 다른 검사 (주로 CT를 참조합니다. EUS도 다소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결과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보만 4형 위암이 의심되면 follow up을 하면 안 되고 즉시 치료적 결정을 해야 합니다. 즉 수술을 권해야 합니다. 물론 내시경 전문가와 외과의사가 모여 상세히 평가한 후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다학제 진료 후 수술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시간에 20명까지 진료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꿈같은 이야기입니다만...

- 악성: 4형 위암, 악성 종양의 직접침윤, 위 악성 림프종, 위 MALT 림프종, 암의 파급

- 양성: 급성 위점막 병변(AGML), 위 아니사키스증, 비후성 위염, Zollinger-Ellison syndrome (ZES), 호산구성 위장염, Menetrier 병, 위 Crohn 병, Cronkhite-Canada증후군, Schonlein-Henoch 자반병,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 위 매독, 위 결핵, 췌장염의 파급

비후성 위염의 상당수는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의한 것입니다. 제균치료 후 상당히 호전되는 예도 많습니다. (참고: EndoTODAY 헬리코박터 위염)

헬리코박터 recent infection이라는 것은 정의가 애매하지만 rugal hyperplatic gastritis가 H. pylori의 recent infection과 관련된 것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참고: 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심포지엄 김광하 교수님 강의)


[Cases]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를 하고 경과관찰 중 내원

보만 4형 진행성 위암 의심으로 의뢰되었던 60대 여성. 비후성 위염으로 판단되었고 7년이상 추적관찰 하였으나 큰 문제가 없었음.

위각부에서 조기위암이 발견된 환자인데, 위체부 주름에서는 비후성 위염의 소견이 있었음.

많은 분들이 보만 4형 진행성 위암을 의심하였던 비후성 위염. 지나치게 울퉁불퉁하고 꼬불꼬불하면 보만 4형 진행성 위암의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고등학생인데 보만 4형 진행성 위암이 의심된다고 의뢰됨. 비후성 위염이었음.

비후성 위염에서 간혹 CT를 의뢰하기도 합니다. CT에서 위벽 자체가 아니라 주름만 비후된 것으로 관찰될 수 있습니다.

비후성 위염은 위벽 자체가 아니라 주름만 비후된 것입니다. EUS에서 이러한 특징이 잘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의: 보통은 EUS가 크게 도움되지 않습니다. 내시경 소견 자체가 더욱 중요합니다.)

Hp serology (+)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의한 비후성 위염


[국소적으로 현저하였던 비후성 위염]

40대 남성으로 내시경 조직검사에서 암 소견이 없었으나 암 의심으로 내시경 치료 추천됨

부분적인 내시경 치료 후 암 소견이 없었고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암 소견이 없었음

의뢰된 후 추적검사를 하였고 3년 후 내시경 및 조직검사에서 암 소견이 없음


[References]

1) EndoTODAY 위염

2) Atrophy & metaplastia 병변의 추적관리 (2009. 내시경세미나 강의자료)

3) Sun-Young Lee. Endoscopic gastritis, serum pepsinogen assay,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Korean J Intern Med 2016

4) 검진발견 소화성 궤양과 기타 위십이지장 질환 이선영. 2016년 내시경 세미나 강의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