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EndoTODAY | EndoATLAS

Beginner | ESA | Schedule | OPD

Seminars | Atlas | Recent | Links

EndoTODAY 내시경 교실


[일원내시경교실 목요점심집담회 2016-5-26]

Previous | Next

1. Corrosive esophagitis (alkaline, 암모니아수)

응급의학과로부터 L-tube를 미리 넣어야 하는지 질문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routine L-tube insertion은 권고되지 않으며 초기에 L-tube를 거치하면 오히려 long stricture의 발생을 일으킬 risk가 있습니다. L-tube는 넣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부식성 식도염에서는 보통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운명을 받아들이는 편이 가장 안전합니다. 내시경도 할까 말까 고민되면 안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 참고: EndoTODAY 부식성 식도염


2. 대장내시경 도중 발견된 편충

내시경으로 제거한 후 구충제를 드려야 하는지 질문이 있었습니다. 과거 EndoTODAY에서 논의한 바 있어서 옮깁니다. 제 의견은 딱 한알인데 드리는 것이 낫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감염자가 소수의 충체에 감염되어 증상이 없습니다. 1970년대 말의 연구에 의하면 구충제 투여 후 대변을 모두 모아 검사한 결과 1마리 보유자가 가장 많았고, 평균 보유충체수는 9마리(최고는 82 마리)였습니다. 일본에서는 부검예에서 평균 7.8 마리의 충체를 수집하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따라서 내시경 검사에서 우연히 한 마리의 편충이 발견되어 제거한 경우 이미 치료가 끝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생충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저는 숨어있을 수 있는 편충을 치료하고, 동시 감염이 가능한 다른 기생충들도 고려하여 기생충약을 권하고 있습니다. Albendazole 400 mg 한 알 1회면 충분합니다. 외래에서 처방할 수도 있지만 약값보다 처방료가 더 비쌉니다. 그래서 저는 환자에게 써 드립니다. "알벤다졸 400mg짜리 한알 한번 드세요. 딱 한알입니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다시 하거나 대변 검사를 추가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족도 동시에 치료받아야 하는지 물어오는 환자가 많습니다. 근거는 없지만 저는 원하시면 함께 albendazole을 한 알 드시라고 합니다. 그리도 유기농을 잘 가려서 드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유기농은 quality control이 잘 되지 않고 있는 듯 합니다. 유기농에도 여러 종류가 있기는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농약과 비료를 쓰지 않는 대신 퇴비를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때 돼지 변을 쓰는 것이 보통이고 인분을 쓰면 안 됩니다.

* 참고: EndoTODAY 편충

chosun.com


3. 베체트장염


4. 용종 같은 위암

Stomach,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arly gastric carcinoma
1. Location : body, greater curvature
2. Gross type : EGC type I
3. Histologic type :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4. Histologic type by Lauren : intestinal
5. Size of carcinoma : (1) longest diameter, 6 mm (2) vertical diameter, 6 mm
6. Depth of invasion : invades mucosa (lamina propria) (pT1a)
7. Resection margin : free from carcinoma(N)
8. Lymphatic invasion : not identified(N)
9. Venous invasion : not identified(N)
10. Perineural invasion : not identified(N)
11. Microscopic ulcer : absent
12. Histologic heterogeneity: absent


5. 보만 4형 진행성 위암

위식도접합부부터 십이지장 구부까지 침범한 보만 4형 진행성 위암입니다. 십이지장까지 침범된 경우는 많지 않으니 잘 봐 두시기 바랍니다. 맨 오른쪽 아래 사진입니다.

* 참고: EndoTODAY 보만4형 진행성위암 pseudopyloric ring


[References]

1) SMC Endoscopy Unit 삼성서울병원 내시경실

2) SMC Monday GI conference 삼성서울병원 일원내시경교실 월요점심소화기집담회

3) SMC Thursday endoscopy conference 삼성서울병원 일원내시경교실 목요점심내시경집담회

©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Jun Hae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