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ginner | ESA | Schedule | OPD
Seminars | Atlas | Recent | Links
001 | 101 | 201 | 301 | 401 | 501 | 601 | 701 | 801 | 901 | 1000
HCC로 수술 후 follow up 중 alpha-fetoprotein이 상승된 환자입니다. PET에서 이상이 발견되었고 내시경을 하였습니다. 위 조직검사 면역형광검사에서 AFP 양성으로 나왔습니다.
아래로
아래로
아래로
아래로
아래로
Hepatoid adenocarcinoma는 조직학적으로는 adenocarcinoma외에 간세포성 분화를 보이는 부분이 동일 암종 내에 공존하면서, 높은 혈중 alpha-fetoprotein(AFP)치를 보이는 암종입니다. 1985년 Ishikura에 의해 처음으로 명명되었습니다. 간세포성 분화를 보이는 샘암종은 위장관, 난소, 폐, 담낭, 자궁, 방광 등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에 발생한 간세포양 샘암종은 진단 당시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높은 전이율과 불량한 예후를 보입니다 (참고문헌 : Korean J Med 2007;73:107-111)
위 환자는 HCC의 stomach metastasis와 감별이 필요하였지만 (1) 수년간 간암의 재발이 없었던 점, (2) 내시경 육안소견에서 metastatic disease 보다 원발성 위암의 특징을 보이는 점 및 (3) adenocarcinoma의 component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여 primary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로 진단하였고 수술을 하였습니다.
위선암에 hepatoid differentiation을 보이는 부분이 얼마나 포함되어야 hepatoid adenocarcinoma로 진단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Hepatoid differentiation을 보이는 부위를 일부 가지고 있는 위선암은 적지 않습니다.
2014. 5. 11. 이준행
일전에 hepatoid adenocarcinoma 증례(위암26)를 보내드린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한 애독자께서 "4년차 때 대한간학회 증례보고했던 케이스(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13;19:173-178)가 있어 첨부합니다. 간암으로 치료받고 NETR (no evidence of tumor recurrence) 상태에서 추적 중 AFP 상승, CT 상 lymphadenopathy 만 보여 간암 재발을 의심했습니다. 방사선치료를 고려하였고 우연히 pre-RT screening EGD 중 위암을 발견하고 조직검사에서 hepatoid adenocarcinoma를 진단한 사례입니다. "AFP 상승 시 intrahepatic lesion이 없으면 EGD를고려해야 한다"라는 내용으로 썼습니다."라는 메일을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