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doTODAY | EndoATLAS | OPD

Parasite | Eso | Sto | Cancer | ESD

Boxim | DEX | Sono | Schedule

Home | Recent | Blog | Links

EndoTODAY 내시경 교실


[Gastric cancer 888. Interobserver variation and coding. Xanthoma]

Previous | Next

001 | 101 | 201 | 301 | 401 | 501 | 601 | 701 | 801 | 901 | 1000


Prepyloric antrum anterior wall의 xanthoma 병소의 조직검사에서 암이 나와 의뢰된 환자입니다.

ESD를 시행하였습니다. Pyloric ring에 닿은 병소이므로 distal resection margin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웠으므로 절제술 후 distal 부위는 APC ablation을 추가하였습니다 (우측 아래 사진). Pyloric ring stricture 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어 다음과 같은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을 추천합니다. 시술 2일 후 prednisolone 투약을 시작해 주십시요. 첫 1주: 매일 Pd 30mg (5mg 6알) → 다음 주: 매일 Pd 20mg (5mg 4알) → 다음 주: 매일 Pd 10mg (5mg 2알) → 다음 주: 매일 Pd 5mg (5mg 1알) → 중단. 즉 시술 다음다음 날 시작하여 1주 간격으로 용량을 줄여나가는 스케쥴입니다 (매주 약을 줄여가며 총 4주 복용 후 중단).

최종 병리결과는 암으로 나오지 않고 다음과 같은 결과였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암 코드를 유지할 것인지, D code로 변경해 줄 것인지 고민이 아닐 수 없습니다.

Stomach, #1x1 : Anterior wall of prepyloric antrum, biopsy(ESD) : Atypical glands with high grade dysplasia
1. Location : antrum, anterior wall
2. Gross type : elevated
3. Size of adenoma : (1) longest diameter, 3 mm (2) vertical diameter, 2 mm
4. Resection margin : negative resection margins(N)
5. Associated finding: xanthoma

저는 C-code를 유지하고 아래와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최종병리결과는 Atypical glands with high grade dysplasia (고도이형성인데 세포가 비전형적이다) 으로 나왔습니다. 암 직전 단계는 틀림없는데 암이라는 확진은 아닌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래서 다소 애매합니다. 외부 병리 선생님은 암이라고 했는데 최종 병리결과가 암직전단계로 나오면 암이라고 부를지 전암성 병소로 부를지 의사간 견해가 통일되어 있지 않습니다. 암이라면 재발률이 5% 정도일 것이고 암 직전단계라면 재발률은 이보다 낮을 것입니다.
이런 경우 저는 보통 외부 판독 결과 의거 암이라는 진단은 유지하고 있습니다. C 코드라고 합니다. 그러나 다른 의사들이나 보험 회사나 정부에서는 다른 판단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심사 결과 의거 향후 코드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출혈과 같은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2-3개월 후 내시경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상처는 다 아물었는지 잔류병소는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예약되어 있을 것입니다. 몇 주 정도 약이 필요한데 남은 약은 충분하십니까?

국민건강보험만 신경쓴다면 당연히 C code를 유지하고 추가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사보험이 많은 우리나라 의료환경에서 애매한 상황이 나오면 복잡하게 설명하지 않을 도리가 없습니다. 저는 단순한 것을 좋아하는 편인데 세상은 점점 제가 일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 (20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