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ginner | ESA | Schecule | OPD
Seminars | Atlas | Recent | Links
[Parasitology. 기생충학] - 終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제57회 내시경세미나. Log-in 필요
![]()
위장관 기생충질환. 2022-6-26 SMC 소화기병 심포지엄 (심포지엄 전체보기)
[알림] 1999-2000년 대학원 입시준비 기간에 정리한 내용을 약간 보충하였습니다. 저는 위암의 내시경 진단과 치료를 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기생충 환자는 더 이상 진료하지 않고 있습니다. 단지 학문상의 흥미를 가지고 있어서 아래 자료를 유지합니다. 임상 기생충학은 주로 감염내과의 영역임을 알려드립니다.
1. 기생충학 핵심 자료 - 동영상, 강의록, 표준 처방
3. 선충 Round worms - 회충, 요충, 편충, 구충, 아니사키스, 분선충
4. 흡충 Trematodes - 간흡충, 간질, 폐흡충, 요코가와 흡충
5. 조충 Tapeworms - 유구조충, 무구조충, 광절열두조충
6. 원충 Protozoas -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
8. 기생충증의 치료
9. 교과서 요약 (2000)
10. FAQ
11. References
2. 위장관 기생충의 분류와 역학.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of the GI parasites
1) 기생충의 분류
2) 기생충의 역학
2019년 장내기생충 퇴치사업 현황 (PDF)을 보면 양성률이 무려 5.1%입니다. ("2019년 장내기생충 감염조사는 32개 시군에서 30,41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장내기생충 양성자는 1,528명으로 양성률은 5.1%이다. 기생충별 양성률은 간흡충 3.1%, 장흡충1.7%, 편충 0.2%, 참굴큰입흡충 0.1% 였다. 과거 높은 양성률을 보인 회충과 구충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편충은 낮은 수치이긴 하지만 여전히 검출되고 있다. 지역별로 감염률을 분석한 결과 경상남도가 9.2%로 가장 높았다.")
몇 가지 검사를 처방하였습니다. 위내시경, 대장내시경을 받으셨는데 채변 검사만 하지 않으셨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기생충증은 언제든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아주 오래 전 채변 봉투입니다.
4) 구충 (=십이지장충) Hook worms - 어떤 질문
6)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과 hyperinfection syndrome
8) 장모세선충 Capillaria philippinensis (암호: smcgi)
10) 광동주혈선충 Angiostrongylus cantonensis PDF 1.3M
4. 흡충 Trematodes (code: B66.8)
1)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 C. sinensis egg in ENBD fluid (암호: smcgi)
4) 요코가와 흡충 Metagonimus yokogawai
2) 유구조충과 유구낭미충. Taenia solium and cysticercosis
3) 아시아조충. Taenia asciatica (암호: smcgi) - 우리나라의 유구조충은 대부분 아시아조충이다.
5) 광절열두조충. D. latum과 동해긴촌충. D. nihonkaiense
6) 포충증 (Hydatid disease) - 단방조충 (Echinococcus granulosus), 다방조충 (E. multilocularis)
1) 이질아메바 Entamoeba histolytica
2) 이질아메바 이외의 장내 아메바 Enteric amoebae other than Entamoeba histolytica - 왜소아메바 Endolimax nana, 대장아메바 Entamoeba coli
1) 이. Louse
2) 옴. Scabies
3) 돌아온 빈대 (암호: smcgi)
4) SFT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and tick. 살인진드기
5) 사면발이 Pubic louse, crab louse
1) 소화기 기생충 표준 처방 (무증상 성인에서 발견된 경우도 동일 처방)
2) Albendazole과 mebendazole의 차이
3) 요충이 계속 재발합니다
4) 개회충에 의한 호산구성 농양은 치료가 필요합니까?
6) 내시경 검사 시 발견된 기생충 sample의 관리: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아래와 같이 saline에 넣어서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검사실로 보내고 있습니다.
병원에 따라서는 formalin에 넣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외부 병원의 한 병리과 선생님의 의견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병리과 000입니다. 대학병원에서 기생충학교실이나 미생물학 교실이 있는 경우 일단 육안소견도 보시고 기생충 발견후 1일이내에 해당교실로 보내실 수 있기 때문에 식염수에 보내지는게 가능하겠지만, 저희는 하루 후에 받게 되고 어차피 고정시켜 슬라이드로 만들어 진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식염수가 맞을지 모르지만 저희에게는 포르말린에 넣어주셨으면 합니다. 식염수는 고정액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변성되서 더 알아보기 힘들 수 있습니다. 기생충학 교실에서도 식염수에 담은 걸 받아 보신다 해도 육안관찰 후 결국 포르말린에 넣어 고정시켜 슬라이드 제작한다고 합니다. 저희 병리과는 슬라이드 제작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9. 기생충 교과서 요약 (2000년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면서 정리한 자료)
1) 총론
2) 선충
3) 흡충
4) 조충
5) 원충
6) 포자충
7) 절지동물
1) 법정감염병(4급 감염병)으로 구분되어 있는 기생충 감염증은 질병관리청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5) 기생충 이름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서민. 경향신문 2013-11-7)
6) Workup for hypereosinophilia
7) Niclosamide (Praziquantel 내성 조충의 치료약)
8) 조선시대 흡충류 감염기전에 대한 고찰 (J Korean Med Assoc 2014;57:866-875)
9) 어떤 introduction - 기생충 강의에 앞서서
10) Artemisinin 숨은 이야기 - 2015년 노벨상을 수상한 중국인 과학자에 대하여
11) 소장의 기생충 감염 (명대성) 대한임상소화기내과 2015:2(4):37
12) 애독자 증례 편지 31 - 쿠도아 (Kudoa septempunctata) 식중독
13) 기생충 망상증 Delusional parasitosis
14) 내시경 중 만난 기생충 - 계명대 동산병원 소화기내과 이주엽 교수
15)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이주엽 교수 강의 - 대구 MBC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EndoTODAY Endoscopy Learning Center. Lee Jun Haeng.